728x90
반응형
windows 환경에서 설정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배포를 위해 Docker를 먼저 깔았으나,
나중에 실제 배포 시 제대로 설정 하는걸로 결정.
1. npm 설치 :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된다.
2. powershell 접속
3. "npm install --global yarn" : npm으로 yarn을 설치한다. global로 설치해야 전역에서 yarn을 인식할 수 있다.
4. "npm install -g create-react-app" : 리액트 앱을 생성하는 명령어 다운로드
5. "create-react-app [원하는 app 이름]" : 원하는 위치로 이동해 설정하고 싶은 app 이름의 리액트 앱을 생성한다.
* 여기서는 "hello-world"라는 이름으로 생성하였음.
6. "cd [설정한 app 이름]" : 방금 생성한 폴더(여기선 hello-world 폴더)로 이동
7. "yarn start" : compiled successfully! 라는 문구가 뜨면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
8. 접속을 통해 확인하기 : 아래와 같은 문구가 뜰텐데, 여기서 보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해 접속하면 된다.
You can now view hello-world in the browser.
Local: http://localhost:3000
On Your Network: http://[ip 주소]:3000
728x90
반응형
'개발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엔드 개발자의 프론트 도전기] 6. props 2 - children (2) | 2023.12.13 |
---|---|
[백엔드 개발자의 프론트 도전기] 5. props (0) | 2023.12.13 |
[백엔드 개발자의 프론트 도전기] 4. state (1) | 2023.12.13 |
[백엔드 개발자의 프론트 도전기] 3. 구현하기 (1) | 2023.12.12 |
[백엔드 개발자의 프론트 도전기] 2. 컴포넌트 (0)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