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최신기술 15

데이터레이크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big_data_lake.html 빅데이터로 가치를 만드는 호수 ‘데이터 레이크’ 이야기 | 인사이트리포트 | 삼성SDS 아마존에서는 데이터를 잘 관리하는 방법을 많이 고민하는데요. 회사 사업규모가 커지면서 데이터가 방대하게 쌓였습니다만. 이를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합니다. 워너 보겔스 아마존 www.samsungsds.com 수집한 정보를 raw data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소를 데이터레이크(data lake)라고 한다.

빅데이터란?

http://www.keri.org/web/www/issue_04?p_p_id=EXT_BBS&p_p_lifecycle=0&p_p_state=normal&p_p_mode=view&_EXT_BBS_struts_action=%2Fext%2Fbbs%2Fview_message&_EXT_BBS_messageId=345814 빅데이터의 활용 현황, 문제점과 대책 - 한국경제연구원 아마존 이용고객이라면 해당 인터넷 사이트를 로그인 할 때, 추천도서가 뜬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이때 추천도서는 일괄적인 것이 아니라 로그인 한 회원마다 달리 나타난다. 아마존은 과 www.keri.org 빅데이터란 기존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능력을 초과하는 정형/비정형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이다. 데이터를 잘..

블록체인이란?

https://www.codestates.com/blog/content/%EB%B8%94%EB%A1%9D%EC%B2%B4%EC%9D%B8-%EA%B0%9C%EB%85%90 블록체인 기본 개념ㅣ블록의 구조부터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과 문제점까지 www.codestates.com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이란 데이터를 담고 있는 블록들이 각각 연결된 분산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를 담고 있는 ‘블록’들이 P2P 방식으로 생성된 연결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다수가 같은 데이터를 갖고 있기에 데이터를 변조하기 어려워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블록체인은 해시를 활용해 머클 트리를 만든다. 각 하위 데이터를 2개씩 묶어서 해싱하고, 해싱한 값들을 다시 2개씩 묶어서 해싱..

WEB 3.0 기술 실현 사례

https://www.codestates.com/blog/content/%EB%B8%94%EB%A1%9D%EC%B2%B4%EC%9D%B8-%EA%B0%9C%EB%B0%9C%EC%9E%90%EA%B0%80-%EC%95%8C%EB%A0%A4%EC%A3%BC%EB%8A%94-%EC%9B%B93-0-%EA%B8%B0%EC%88%A0-%EC%8B%A4%ED%98%84-%EC%82%AC%EB%A1%80 블록체인 개발자가 알려주는 웹 3.0 기술 실현 사례 - 코드스테이츠 공식 블로그 최근 많은 관심을 받는 기술 중 하나인 웹 3.0이 무엇인지 궁금하실 텐데요. 웹 3.0이 무엇인지, 웹 3.0 기술을 통해 우리가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지 직접 진행했던 과정을 통해 사례를 설명드려 www.codestates.com..

WEB 3.0이란?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with_msip&logNo=222983346061&parentCategoryNo=&categoryNo=56&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menu 메타버스, 블록체인 미래 디지털 기술의 동력 WEB 3.0 요즘 과학 분야 기사를 보면 ‘웹3.0’(web3.0)이라는 용어를 볼 수 있습니다. 이용자의 맞춤형 데이터를 ... blog.naver.com https://www.codestates.com/blog/content/web3-0%EC%9D%B4%EB%9E%80-%EC%A0%95%EC%9D%98%EC%99%80-%ED%8A%B9%EC%A7%95-%EC%A0%84%EB%A7%9D We..

AI 저작권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with_msip&logNo=222970028984&parentCategoryNo=&categoryNo=56&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menu 인공지능이 만든 창작물, 주인은 누구일까? AI 저작권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이 나온 이후로 여러 기술들이 키워드로 지목이 되고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그 이... blog.naver.com AI가 발전하면서 이미지, 동영상, 음악부터 글과 그림에 이르기까지, AI의 창작물이 생겨나고 있다. 여기서 저작권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AI가 생성한 창작물의 저작권 문제이다. 요즘은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고, 그 키워..

최신기술/AI 2023.06.12

햅틱 기술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with_msip&logNo=223097285932&parentCategoryNo=&categoryNo=56&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menu 기계에 감성을 더하는 디지털 촉감, 햅틱 기술 4D 영화를 보신 적 있나요? 4D 영화는 몰입도를 위해 의자가 흔들리고, 물도 뿌리고, 향기도 나죠. 여기... blog.naver.com 햅틱 기술이란 디지털 기기에 진동이나 충격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원격으로 로봇을 조종할 때, 로봇이 물체를 집을 경우 그 촉감을 알지 못하면 물체를 안전하게 조작하기 어려우므로 촉감 재현이 필요해졌다. 이런 필요에 의해..

클라우드 vs 클라우드 컴퓨팅 vs 클라우드 서비스

https://www.samsungsds.com/kr/cloud-glossary/what-is-cloud.html 클라우드(Cloud)란? | 클라우드 용어집 | 삼성SDS 클라우드를 한마디로 정의하면 무엇인가요? 클라우드(Cloud)란,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을 의 www.samsungsds.com 클라우드 : 광대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가상화된 서버와 서버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IT 환경 (즉, 네트워크를 통해 IT 서비스를 제공되는 환경) 클라우드 컴퓨팅 :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는 기술적인 방법 클라우드 서비스 :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제공..

마이데이터란?

https://www.kdata.or.kr/kr/contents/mydata_01/view.do 한국데이터산업업진흥원 블로그 데이터바우처 A부터 Z까지 숫자로 본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 오늘은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을 숫자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데이터바우처 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5년간 진행 중입니다. 5년 www.kdata.or.kr 마이데이터란 개인데이터의 관리와 활용 권한이 정보주체인 개인에게 있음을 강조하는, 개인데이터 활용 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의미한다. 이전에는 직접 연계된 기업 간에만 개인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었다면, 개인의 동의를 기반으로 개인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맞춤 서비스가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데이터 산업 발전에 도움을 준다. 즉, 개인 데이터의 종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통신사에서 5G 포기하는 이유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1406 [영상] 통신사, 28GHz 주파수 5G 서비스 포기…왜?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진행 : 디일렉 한주엽 대표, 디일렉 이도윤 편집국장출연 : 디일렉 윤상호 전문기자 -오늘 6월 1일입니다. 목요일 라이브 시간이 다가와서 저희가 카메라를 켰습니다.여러 가지 얘기들을 저희가 www.thelec.kr 즉, 5G로 가면서 고주파 대역(약 28GHz)을 이용하는데, 고주파의 특징 상 직진성은 강하지만 투과도가 약한 부분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난제도 있었고, 인프라 관련 투자가 많이 필요한 상황이라 포기한 것이다. 정부에서 대역을 할당해주면서 일정 개수 이상의 기지국 생성 등 목표를 정해주는데, 이를 통신..

최신기술/5G 2023.06.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