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해 분기별로 나누는 방식에는 if와 when 두 가지가 있다. 조건문 if먼저, if에 대해 보자.c,c++,java와 같은 언어들에서와 마찬가지로, 문법과 사용 방식이 똑같다.if([조건]){ // 조건에 따른 실행부} 다만, 다른 언어들과 조금 다른부분이 있는데, 바로 if문이 표현식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이다.예를 들어, println(if (a > b) a else b)와 같은 표현이 가능하다.마찬가지로, if문 안의 조건식에도 if문을 작성할 수 있다.if (if (a == b) a else b) { d = 1} else { d = 2}이런 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인지 'condition? then : else' 와 같은 삼항 연산..